Jupyter Lab
-
주피터랩(jupyter lab)을 새로 만든 가상 환경에 쓰려는데 이런 에러가 생겼다. 에러 발생 이유는 버전 호환이 잘 안맞는다고 판단하였다. 해결법 jupyterlab의 최신 버전(3.2.5)은 그대로 두고 jupyterlab-server를 2.8.2로 다운그레이드하였다. 만약 jupyterlab-server가 깔려있는데 버전이 안 맞는 경우에는 pip uninstall jupyterlab-server 후, pip install jupyterlab-server==2.8.2를 실행한다. 깔려있지 않으면 당연히 pip install jupyterlab-server==2.8.2를 실행한다.
[Error] cannot import name 'WORKSPACE_EXTENSION' from 'jupyterlab_server'주피터랩(jupyter lab)을 새로 만든 가상 환경에 쓰려는데 이런 에러가 생겼다. 에러 발생 이유는 버전 호환이 잘 안맞는다고 판단하였다. 해결법 jupyterlab의 최신 버전(3.2.5)은 그대로 두고 jupyterlab-server를 2.8.2로 다운그레이드하였다. 만약 jupyterlab-server가 깔려있는데 버전이 안 맞는 경우에는 pip uninstall jupyterlab-server 후, pip install jupyterlab-server==2.8.2를 실행한다. 깔려있지 않으면 당연히 pip install jupyterlab-server==2.8.2를 실행한다.
2021.12.23 -
vscode에서 여러 Extension 패키지나 Visual Studio IntelliCode같은 걸 쓰다가 셀 단위로 끊어 쓰려고 Jupyter lab을 사용하게 됐다. 그런데 자동완성이 안되잖아! 그래서 Extension 패키지를 까는 방식으로 해결했다. kite라는 것인데 이것을 쓰면 아래 이미지처럼 자동완성을 한다. 설치법 github.com/kiteco/jupyterlab-kite 링크에 접속해서 스크롤(README.md)을 내리면 Installation이 있다. 친절하게 OS 환경에 따라 설치법을 안내하고 있다. 1. 저기 installer 링크(www.kite.com/download/)를 클릭하면 실행파일이 다운로드될 것이다. 이것을 설치하고 링크에 소개된 그대로 설치하면 끝난다.(설치 과정..
Jupyter Lab(주피터랩) 자동완성 사용하기(Kite)vscode에서 여러 Extension 패키지나 Visual Studio IntelliCode같은 걸 쓰다가 셀 단위로 끊어 쓰려고 Jupyter lab을 사용하게 됐다. 그런데 자동완성이 안되잖아! 그래서 Extension 패키지를 까는 방식으로 해결했다. kite라는 것인데 이것을 쓰면 아래 이미지처럼 자동완성을 한다. 설치법 github.com/kiteco/jupyterlab-kite 링크에 접속해서 스크롤(README.md)을 내리면 Installation이 있다. 친절하게 OS 환경에 따라 설치법을 안내하고 있다. 1. 저기 installer 링크(www.kite.com/download/)를 클릭하면 실행파일이 다운로드될 것이다. 이것을 설치하고 링크에 소개된 그대로 설치하면 끝난다.(설치 과정..
2021.04.30 -
jupyter를 그냥 jupyter lab이나 jupyter notebook에서 써도 되지만 vscode에서 쓰면 자동완성 덕에 좀 더 편해서 쓰게 된다. 그러던 중에 가상환경 하나를 만들고 커널을 만들었는데 실행이 안되고 무슨 에러만 뜬다. 뭔가 하니 kernel died with exit code 1 라는 에러가 자꾸 생겨서 해결법을 찾아보았다. 해결법 : 사용하고 있는 가상환경에서 conda install -c anaconda pywin32 을 설치한다. importError: DLL load failed while importing win32api: 지정된 모듈을 찾을 수 없습니다. 과 같은 에러 상황에도 유효하다.
[Error] kernel died with exit code 1(vscode에서 jupyter를 이용한다면)jupyter를 그냥 jupyter lab이나 jupyter notebook에서 써도 되지만 vscode에서 쓰면 자동완성 덕에 좀 더 편해서 쓰게 된다. 그러던 중에 가상환경 하나를 만들고 커널을 만들었는데 실행이 안되고 무슨 에러만 뜬다. 뭔가 하니 kernel died with exit code 1 라는 에러가 자꾸 생겨서 해결법을 찾아보았다. 해결법 : 사용하고 있는 가상환경에서 conda install -c anaconda pywin32 을 설치한다. importError: DLL load failed while importing win32api: 지정된 모듈을 찾을 수 없습니다. 과 같은 에러 상황에도 유효하다.
2021.04.30 -
주피터랩에서 텐서플로우를 실행하는데 갑자기 아래와 같은 코드가 떠서 당황했다. 에러 유형(캡처) 에러 유형(텍스트) - 위 캡처와 동일합니다. 1 2 3 4 5 UnknownError: Failed to get convolution algorithm. This is probably because cuDNN failed to initialize, so try looking to see if a warning log message was printed above. [[node sequential/conv2d/Conv2D (defined at :1) ]] [Op:__inference_train_function_841] Function call stack: train_function Colored by Colo..
[Error] Failed to get convolution algorithm. This is probably because cuDNN failed to initialize(Jupyter lab)주피터랩에서 텐서플로우를 실행하는데 갑자기 아래와 같은 코드가 떠서 당황했다. 에러 유형(캡처) 에러 유형(텍스트) - 위 캡처와 동일합니다. 1 2 3 4 5 UnknownError: Failed to get convolution algorithm. This is probably because cuDNN failed to initialize, so try looking to see if a warning log message was printed above. [[node sequential/conv2d/Conv2D (defined at :1) ]] [Op:__inference_train_function_841] Function call stack: train_function Colored by Colo..
2021.04.14